분류 전체보기 (184) 썸네일형 리스트형 [개발] Rive 도입 이유 + 사용 경험 2025. 10. 19. 01:32 내가 현재 개발 중인 프로덕트는 rive를 쓰고 있다 Rive가 무엇인가?https://rive.app/ Rive — a new way to design, build, and ship user interfacesRive combines an interactive design tool, a new stateful graphics format, a lightweight multi-platform runtime, and a blazing-fast renderer. This pipeline brings interfaces to life with motion across apps, games, websites, products, and vehicles.rive.app(공식 사이트) 상태 머신(state machi.. CTO님께서 내주신 연휴 숙제 - 마인드맵 2025. 10. 11. 17:13 연휴 전날 엔지니어링 토크에서 CTO님께서 숙제를 내주셨다 올해 2월까지 대학생이었던 내가 이해한 것: 교수님께서 연휴 기간을 맞이하여 과제를 내주심 학생 본능으로 과제를 수행했다 긴 연휴 기간동안 자신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라는 취지로 내주셨다쓰다 보니 정말 자아 성찰 효과가 있었다생각보다 내가 하고 싶은 게 많아서 이거 이루려면 열심히 살아야 된다는 자각도 하게 됐다 마인드맵마인드 맵 쓰면서 했던 생각을정말 의식의 흐름대로 줄줄 풀자면... 근데 이건 정말 제 머릿속이랑 비슷해서 부끄러우니까 너무 자세히 읽지는 말아주세요 ㅎ 일생가족은 멀리 떨어져 있지만, 시간을 내서 챙기고 싶다.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연구 중심 대학을 나왔지만, 취업을 했다.주변에 거의 대부분의 친구들은 대학원에서 연구를 하고 .. [개발] FECONF25 로띠 세션에서 알게 된 닷로띠를 실무에 적용하기 2025. 10. 9. 22:54 보통 컨퍼런스를 듣고 와서"아~ 재밌었다~"로 끝나게 되면...기억 지속이 잘 안된다 그럼 답은 뭐다?"이론 및 실습" 괜히 대학교 과목이 이론 3시간 실습 1시간으로 구성된 게 아님(기억 속에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가는 수많은 레시테이션 시간들...크아악) 아무튼 개발 컨퍼런스? 실제로 실무에 유의미하다라는 증거를 남기고자...글을 씁니다배경(2025년 8월 25일 오후 8시 쯤에 있었던 실화를 재구성했습니다) FECONF25를 듣고 와서우리 스쿼드 디자이너님께 로띠 이야기를 했다 우리 디자이너님께 헌정한 로띠 세션 후기 글은 요기 👇https://developer-dreamer.tistory.com/181 [FECONF25] 개발자를 위한 모션 그래픽 솔루션: Lottie의 기술 진화와 활용전략feco.. [토스 컨퍼런스] TOSS MAKERS CONFERENCE 25 후기 2025. 10. 9. 00:28 세미나 정보2025.07.25. 토스 메이커스 컨퍼런스 - 엔지니어링 데이 참가 개요CTO님이 토스 메이커스 컨퍼런스 25에 참석하지 못하는 팀원들을 위해 참석한 팀원들이 후기를 공유해 줄 것을 요청하셨고,저도 정리해두면 나중에 보면서 오래 기억할 수 있어서 정리해봤어요! 토스 컨퍼런스 세션 목록 중 제가 다니는 회사의 현재 문제 상황에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세션을 골라서 들었어요 이 정리한 내용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토크 때 앞에서 발표했어용CTO님이 본인이 본 컨퍼런스 다녀온 사람 중 가장 열심히 듣고 자세히 정리한 사람이라고 칭찬해주심 (이거 극찬아닌교 유후)지식 공유는 즐겁당요약[FE] 60개의 RN 패키지 - 하나의 프레임워크로패키지들을 하나로 묶는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서 관리 (버전 이슈 최소화).. [개발] 의외로 주니어가 할 수 있는 것: 문서화 문화 도입 2025. 10. 8. 19:27 문서화는 정말 중요해요!!! 중요하다구요!!!라고 말만 한다면,실제로 문서화 문화가 조성될 확률 === 0% 그럼 어떻게 하나요?직접 실천합니다."일단 나부터" 앞선 몇 가지의 글에서도 말했지만나는 ✨fancy legacy✨ 위에서 코딩하고 있다(레거시 굉장해 엄청나!) 보통 코드 맥락은 읽어서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데... "코드? 네가 직접 경험하기 전까지 아무것도 믿지 마"오죽하면 이게 우리 팀 유행어겠슨 그래서 결국은 사람이 그 맥락을 다 읽어서 파악하는 수밖에 없는데너무 복잡하다 보니까... 구전설화 형태로 전해짐'ㅇㅇㅇ 기능 관련 코드를 어떤 키워드로 찾으면 좋을까요?''아 그거... ㅇㅇ님(퇴사자)이 알고 계시는데...' 퇴사하면 구전설화가 끊겨서 전해지지 못함누군가 코드를 다시 읽어서 그 .. [매일메일] 타입스크립트 사용하는 이유? + 실무 경험담 2025. 10. 6. 16:08 타입스크립트 사용하는 이유[1] 정적 타이핑을 통해 코드의 안정성 크게 향상개발 시 타입 오류를 런타임으로 실행하기 이전에 발견할 수 있음 [2] 개발자의 생산성을 높여줌IDE 자동 완성 기능과 인텔리센스가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코드 작성 속도가 빨라지고, 리팩토링이 쉬워짐명시적인 타입 정의가 문서화 역할을 해 코드 가독성과 이해도가 높아짐 [3]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일부 기능을 자바스크립트에 추가인터페이스, 제네릭, 열거형 등 현대적인 기능을 지원함구조화되고 확장 가능한 코드 작성할 수 있음 자바 스크립트의 한계를 극복하고, 안정성/생산성/기능성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 타입 스크립트를 도입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은 경우도 있는가?1) 개발 속도와 간단함이 중요한 소규모 프로젝트프로토타입 제작.. [매일메일]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 레거시에 대한 간단 생각 2025. 10. 6. 14:23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이유컴포넌트 간 상태 공유가 용이해짐여러 컴포넌트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중앙화해 관리할 수 있음.여러 곳에서 쉽게 값에 접근할 수 있음props drilling을 겪지 않고 상태를 공유할 수 있음 이 props drilling이란 무엇인가!-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여러 단계를 거쳐 props를 전달하는 현상어떤 데이터가 깊은 자식 컴포넌트에서 필요한 경우, 그 자신의 부모 -> 부모의 부모 -> 부모의^3....중간 컴포넌트들이 props를 하위로 '전달'만 함 컴포넌트가 많아질수록 props 전달이 '복잡'하고 '지저분'해짐중간 컴포넌트들이 불필요하게 '리렌더링'됨 지금 리팩토링 중인 코드 중 컴포넌트 하나가 props를 16개 넘기고 있는 .. [매일메일] useRef에 대하여 + 버튼 '따닥' 방지 실예제 2025. 10. 6. 13:39 useRef()리렌더링 없이 값을 저장하거나, DOM 요소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React Hook변경은 되지만 화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값을 관리할 때 쓰면 됨 [1] DOM 요소 접근에 사용하는 경우React에서는 대부분 DOM 조작이 필요없지만포커스를 주거나, 특정 위치로 스크롤하거나, canvas, video 같은 경우 DOM 요소에 직접 접근해야 함const inputRef = useRef(null);useEffect(()=> {inputRef.current.focus(); // 컴포넌트 마운트 시 input에 포커스를 맞춘다},[]);return ; 입력(input) 필드에 focus를 설정하고 싶을 때, useRef()를 사용해 input 요소에 접근할 수 있음ref={inputRe.. 이전 1 2 3 4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