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72)
[매일메일] SSR vs CSR, SPA vs MPA란? (BE.250122) (개발자 강화/백엔드) 2025. 1. 22. 20:48 SSR이란?서버 측에서 렌더링하는 방식.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컨텐츠를 요청할 때마다, 서버는 완성된 페이지를 생성해서 클라이언트에 제공함.CSS를 모두 적용하고 렌더링 준비를 마친 HTML과 JS 코드를 응답함.브라우저에서는 JS 코드를 다운로드하고, HTML에 JS를 연결함.모든 데이터가 HTML에 이미 담겨있기 때문에 SEO(검색 엔진 최적화)에 유리함.JS 코드를 다운로드 받고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가 이미 렌더링된 HTML을 볼 수 있음(초기 로딩 속도 빠름) CSR이란?클라이언트 측에서 렌더링 하는 방식.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컨텐츠를 요청하면, 서버는 빈 뼈대만 있는 HTML을 응답함.클라이언트는 연결된 JS 링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다시 JS 파일을 다운로드 받음JS를 통해 동적으로 페이지를 만들어 ..
[매일메일] Connection/Socket/Read Timeout이란? (BE.250121) (개발자 강화/백엔드) 2025. 1. 21. 22:48 Connection Timeout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을 시도할 때, 서버 장애나 응답 지연으로 일정 시간 내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발생함3-way handshake가 일정 시간 내에 완료되지 않으면 발생함 (클라이언트-서버 연결을 위해 확인하는 절차) Socket Timeout패킷이 전송되는 시간 간격 제한 내에 다음 패킷을 보내지 않으면 발생함.패킷: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된 후, 서버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를 여러 패킷 단위로 쪼개서 전송함.시간 내에 다음 패킷이 오지 않으면 클라이언트는 연결 종료. Read Timeout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된 후, 특정 I/O 작업이 일정 시간 내에 완료되지 않으면 발생함.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응답이 지연되거나 I/O 작업이 길어져 요청이 처리되지..
[매일메일] 낙관적 업데이트란? (FE.250121) (개발자 강화/프론트엔드) 2025. 1. 21. 19:17 낙관적 업데이트성공적인 상태 업데이트가 이루어 질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서버 응답 전 UI를 미리 업데이트 해둠. 대표적인 예시 - 좋아요 기능사용자가 좋아요 버튼을 눌렀을 때, 서버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화면에 바로 버튼 누름 상태 반영함.서버 응답이 성공적으로 돌아오면 유지하고, 실패하면 UI에서 해제하거나 오류 메시지를 보여줌 장점서버 응답 속도와 상관 없이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서 사용자가 시스템을 빠르게 쓸 수 있음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거나 응답 시간이 길어도 사용자 경험에 영향이 덜 미침 단점서버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잠시동안 화면에 잘못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음이를 대비해 오류 핸들링(rollback) 로직을 같이 설계해줘야 함 낙관적 업데이트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요청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고..